0

여성들은 경험해 봤을 것이다. 단지 순수하게 친절하게 대했을 뿐인데 상대 남성이 ‘자신을 꼬신다’고 생각하는 경우를.

ADVERTISEMENT

ADVERTISEMENT

미소 짓고, 웃고, 대화를 재밌어하는 이런 행동들을 남성들은 자신에 대한 호감으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연구에 의하면 확실히 이런 자기 도취적인 행동 패턴은 여성들보다 남성들에게서 훨씬 많이 발견된다고 한다.

노르웨이 과학 기술 대학의 심리학자 몬스 벤딕센의 최근 연구에 의하면 그런 행동 패턴에 있어서 성별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두가지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첫째는 ‘실수 관리 이론’이다. 남자들은 잘 모르는 여성이라도 섹스를 할 수도 있는 기회를 놓치고 싶지 않아서 상대방의 관심에 대해 과잉 반응을 한다는 것.

반대로 여성의 경우 잘 모르는 남자와 섹스를 했을 때 생길 수 있는 여러 문제들 — 임신, 성병, 평판 악화 등 때문에 섹스에 소극적이어서 상대방의 관심에 과소 반응을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두번째는 ‘사회적 역할 이론’이다. 행동 패턴의 성별 차이는 사회적 규범 (norm)과 개인에 대한 시회적 기대에서 기인한다는 것.

즉 이 규범과 기대가 남자와 여자에 대해 다르고, 대부분의 사회에서는 여자보다 남자에 대해서 너그럽다. 벤딕센은 문제의 행동 패턴의 남녀 차이를 국가별로 조사했는데, 남녀 차별이 심한 나라일수록 행동 패턴의 성별 차이는 더 컸다고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결론적으로 남자들의 이 자기도취적인 행동 패턴은 상대적으로 강한 그들의 섹스 드라이브와 남성 우월주의 문화의 산물이라는 것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Related Story

More from Love & Sex